본문 바로가기
SeSSAC 데이터 드리븐 마케팅/APP 마케팅

APP 마케팅 / 어트리뷰션, MMP, 마케팅믹스-1

by 저뮤니 2023. 8. 17.

 

Attribution( 성과귀속)

어트리뷰션의 목적과 기능

- 자연유입과 광고 유입성과 구분

- 유입을 발생시킨 매체 파악 가능

- 동일 기준 내 성과 파악

- 개발 리소스 최소화

어트리뷰션 도입시 고려사항

- 사용금액 소요

- 어트리뷰션 툴 개발

- 어트리뷰션 툴 기준 확인

MMP (Mobile measurement partner)

어트리뷰션 툴을 제공하는 회사를 의미하며, 널리 알려진 용어

 

Organic : 광고 참여이력이 없는 유저

Non Organic (Paid) : 광고 참여 이력이 있는 유저

Install

(집계 기준) 앱을 클릭했을 때, 오픈했을 때. 앱에 심어있는 SDK가 작동하면서 추적 

In-app Event : 이벤트 발생 유저행동이 가장 중요하다.

Re-tagetig :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상태에서 앱 활성화를 위해 이벤트를 진행

LTV (life time value) : 유저가 인입돼서 발생시킨 수치

Retention : 얼마나 오랫동안 남아서 활동성을 보여주느냐

*Cohort : 특정한 기준을 공유하는 집단 

ROAS : 투자대비 회수율

유저 생애 주기

Click-through lookback window : 유저가 클릭후 얼마나 오랜 기간동안 유효한 클릭으로 볼 것인지 

성과측정이 가능한 기술과 지표를 활용하는 것 : 퍼포먼스 마케팅

어떤 매체에서 어떤 광고로 유입된 유저인지, 광고 유저를 파악하는 로직

 

안드로이드(Android)

안드로이드에서만 활용 가능

Referrer : 안드로이드 스토어에서 관리 / 직접 부여한 값

광고클릭 = 인스톨 후 지표가 같이 집계되어야 성과측정이 가능하다.

 

IOS

디바이스 ID 기기 매칭

 

device 정보를 확인할 수 없게 막아놓은 경우 다른 정보들을 모아서 광고 참여 정보를 파악

 

 

19-20년 이후 애플이 시행한 정책. 유저를 판단할 근거(정보)가 있어야하는데 유저가 동의하지 않으면 정보를 알 수가 없음

안드로이드 Store Referrer/ ID maching

IOS > 애플 정책으로 인해 성과측정에 관한 제약이 많이 생김.


성과확인

비즈니스 목표 달성을 위해 어떤 이벤트를 기획해야하는지 알아야한다.

인앱 이벤트 수량의 개발 제한은 없음. 광고주의 여력에 따라 목표에 맞는 단계를 선정해서 개발

서버에서 동작할때마다 / 앱의 구동하는 방식은 다양

앱의 구동방식에 따라 혼합되어 있다 > Hybrid App

개발기획까지도 퍼포먼스 마케팅의 영역

글로벌 출시 앱일 수록 통화 설정 필수

어떤 시점 / 어떤 정보를 수집하는지 확인 > 마케팅 시나리오 짤때 유용

미디어믹스

미디어믹스 구성하기

1. 목표점검

2. 매체 선정

3. 예산 배분

4. 매체 준비

5. 소재 준비

동남아 SNS : LINE

소셜미디어와 관련된 매체 

Direct : 광고 지면을 직접적으로 가지고 있는 매체 

진짜유저가 발생시키지 않은 이벤트가 적음. 매체 이용비가 비싼편
유니티애즈(Unity ads), 앱러빈(Applovin) 

DSP : 광고지면을 가지고 있는 회사와 연계한 광고사업을 하는 회사.

예산이 큰 매체일수록 예산을 태우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추가 투입 매체 (서브 매체)를 고려

→ 달성해야하는 목표에 가장 최적화된 계획표(미디어믹스)를 설정.